언약과 율법
언약과 율법
출애굽기 19-24장을 중심으로
언약과 율법은 굉장히 중요한 복잡한 주제이다 신구약 성경의 핵심주제로 볼 수 있다. 구약, 신약 나누고 잇는데, 구약은 옛 언약, 신약은 새 언약, 결국 언약이다. 언약과 관계된 개념이 신구약 성경의 핵심이다. 성경 안에는 다양한 언약들이 등장한다.
언약
노아의 언약부터 아브라함, 시내산, 모압, 다윗, 세겜, 새언약까지. 조직 신학적으로는 아담 언약도 말하지만, 구약 성경 안에서는 아담이 언약을 맺었다는 분명한 본문이 없기 때문에 구약학자들은 아담 언약은 제외시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구약 성경의 언약은 시내산 언약이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렘 31장의 새 언약은 신약 성경과 직접 관련된 언약이다.
언약은 하나님과 관계를 표현하는 대표적 언약이다. 그것은 다양한 유비로, 대표적으로 왕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 남편과 아내로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묘사한다. 다 언약적 관계이다. 다 언약을 통해서 맺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별히 우리가 언약과 율법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언약과 율법의 관계
밀접하게 연관된 용어이다. 마치 하나의 패키지 같은 것이다.
율법은 언약의 하위 개념, 종속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시내산 언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근동의 조약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약, 언약은 성경의 것만은 아니다. 대표적인 것이 히타이트의 종주권 언약이다.
참고. 시내산 언약과 히타이트의 종주권 조약(Suzerain treaty: 주전 1500~1200).
종주권 조약
종주(Suzerain, 주권국,지배국의 왕)와 봉신(Vassal, 피지배국의 왕이나 신하) 사이에 맺은 조약. 일방적 조약의 성격. 종주는 봉신에게 조약을 하사하는 것. 봉신은 조약을 지킴으로 인해 종주의 보호를 받게 됨. 종주권 조약과 구약신학의 언약과 관련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했다. 그중 하나가 멘델홀.
6가지 기본 요소(G. 멘덴홀).
① 전문 혹은 서언(Preamble)주권자의 이름과 타이틀을 명시함. “이것은 ~의 말씀이다”
② 역사적인 서언(historical introduction)조약을 맺게 된 이전 역사를 언급함. 종주국이 봉신국에게 베푼 과거의 은혜를 회상하는 것.
③ 규정(stipulation)조약의 내용. 대개 군사 통솔 계통, 피난민 취급, 전쟁 노획물, 불평 금지 등의 항목. a. 일반적 규정(general stipulation) b. 구체적 규정(specific stipulation)
④ 증인을 세움(witness)● 대개의 경우 두 나라의 신들● 혹은 자연의 세력들, 즉 산, 바다, 구름, 폭풍까지도 포함하기도 함.예언자들이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고발할 때, 증인을 불러낸다. 하늘이여, 땅이여 들으라... 증인을 부르는 것이다. 하늘이, 땅이 증인이라는 것이다.
⑤ 축복과 저주(blessings and curses)조약을 지키면 종주가 복을 내리고 조약을 어기면 벌을 받게 될 것이라는 내용. 오경에 나와 있는... 끝부분에 축복과 저주로 되어있다. 대표적인 레위기 26장.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강조법. 신 28장. 축복과 저주 본문.
⑥ 공적인 낭독(public reading)계약의 사본을 신전(= 신들 앞)에 보관하며 정기적으로 낭독할 것을 명시함. 요시야 왕, 율법책이 발견됨. 신전에서 발견됨. 계약의 사본을 성전에 대개 보관하는 관습이 있었다. 이스라엘도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계약을 맺은 당사자는 정기적으로 이 규정을 낭독하고 들어야 할 책임이 있음을 명시한다.
시내산 언약은 이 조약의 형식과 대체로 일치함.
① 전문(출 20:1) - 언약을 맺는 주체를 언급함.
② 역사적 서언(출 20:2) - 야훼께서 베푸신 구원의 은혜를 언급함.
③ 조약의 내용(출 20:3-23:19)-규정
a. 십계명(general)
b. 계약법전(specific)
④ 축복과 저주(출 23:20-33). 비교. 레 26장, 신 28장.
⑤ 조약 체결(출 24:1-6)
⑥ 공적인 낭독(출 24:7)
더 분명한 것은 신명기이다. 멘델홀은 시내산 언약이 야훼와 이스라엘 관계를 정치적 어휘로 설명한 것이다. 야훼는 종주가 되고, 이스라엘은 봉신이 되는 것이다. 왕과 신하의 고대 근동에 익히 잘 알려진 틀을 이용해서 하나님과 이스라엘 관계를 설명한 것.
시내산 언약은 야훼와 이스라엘의 관계를 정치적인 어휘로 설명한 것
이스라엘의 의무 - 야훼만을 섬기고 야훼의 계명들(조약의 내용)을 지켜야 함.
하나님의 약속 -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소유로 삼으시고 모든 위협으로부터 지켜주심.
그래서 고대 근동의 조약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나 어휘로 관계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나님의 계시는 하늘에서 툭 털어진 것이 아니라 특정한 장소, 문화적 배경 속에서 주어진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