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율법5

토라 (율법) 토라(율법) 용어 ● 데바림(말씀들) - 십계명. ● 미츠바(계명, 명령) - 단순한 형태로 된 명령. ● 미쉬파트(판결 규례) - 판례법, case law. 주로 민사법과 형법. ● 호킴(규례) -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례. 주로 종교적인 규례. 형식(Alt) ● 정언법(apodictic law) - 단문으로 된 형식(해라! 혹은 하지 말라!). ● 결의론 법(casuistic law) - 주절(범죄)과 조건절(형벌)로 된 형식. 개념 히브리어 야라(던지다)에서 나옴. 명사형으로 쓰일 때는 교훈, 가르침이라는 뜻. 부모의 훈계, 어른들의 가르침이라는 의미. 율법 - 하나님 아버지의 가르침. 토라가 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게 된 것은 후대, 특히 포로기 이후다. ① 포로기의 상황 포로기 때, 나라의 멸망에.. 2021. 4. 6.
갈라디아서 4장 종이 아니라 아들 종이 아니라 아들(4:1-7) 앞 단락에 상속자 개념이 여기서는 무엇이 뜻하는가 논점을 이어 전개해 간다. 바울은 3:29에서 아브라함과 의 관계 속에서 상속자 주제를 도입했었다. 2021.03.12 - [말씀] - 갈라디아서 3:19-25 율법의 기능과 목적 갈라디아서 3:19-25 율법의 기능과 목적 율법의 기능과 목적(3:19-25) 지금까지 율법의 한계와 부정적 기능을 부각해 온 바울은 율법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던진다. 바울은 이 질문에 대해 율법의 기원부터 밝혀 나간다. 그것은 범죄들 bittersweetcoffee.tistory.com 본 단락에서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상속자 주제를 발전시켜 나간다. 그런데 이러한 사고의 발전은 3:26-29에서도 내재되어 있었다. 하나님의 아들들이 되는.. 2021. 3. 12.
갈라디아서 3:19-25 율법의 기능과 목적 율법의 기능과 목적(3:19-25) 지금까지 율법의 한계와 부정적 기능을 부각해 온 바울은 율법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던진다. 바울은 이 질문에 대해 율법의 기원부터 밝혀 나간다. 그것은 범죄들 때문에 주어진 것인데, 약속이 주어진 자손이 오실 때까지이다. 그것은 천사들을 통하여 한 중개인에 의해 주어졌음을, 방법까지 이야기한다. 바울은 처음부터 부정적 요소가 있었음을 밝힌다. (인간의 범죄들 때문에 주어졌음). 그 기원이 이처럼 부정적이기 때문에, 그 기능도 부정적인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 바울의 전제이다. 그러면서 바울은 율법의 기능이 한정된 기간에 한함을 밝힌다. 우리에게는 당연해 보이지만, 실재적으로는 헷갈리지만. 1세기 당시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이 문제가 굉장히 충격적 질문이었을 것이다. 그.. 2021. 3. 12.
갈라디아서 3:1-18 율법으로는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함 율법으로는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함(3:1-18) 갈라디아 성도들의 경험(3:1-5) 갈라디아 교인들이 복음을 전달받을 때 들었던 내용을 확인해준다. ‘십자가에 못 박히다’는 현재형으로, 사건은 과거인데 동사는 현재형을 쓰면서, 그의 죽음이 현재 그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십자가 사건은 먼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지금 현재 갈 성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라는 의미이다. 그분의 죽음이 모든 죄의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에, 그분의 십자가 죽음 이외의 어떤 다른 요소도 그리스도인의 칭의에 기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갈라디아서에서 성령의 역할은 그리스도인의 삶과 관련해서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이 개종한 시발적 사건에서부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성령으로 시작하고 성령으로 귀결된다. 바울은 율법의.. 2021.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