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씀

데살로니가전서후서 서론

by 독거할매 2021. 4. 9.

데살로니가전서후서 서론 

1. 도시 데살로니가의 배경

(1) 지리적 배경

- 항구 도시.(교통의 중심지) 정치, 경제 도시, 무역로. 동쪽에는 빌립보, 아래에는 베뢰아
- Via Egnatia(비아 에그 나시아), Via Aappia (비아 압비아) 군사도로 상에 있음

 

(2) 정치 경제적 배경

 • 도시 수립
- BCE 315년
- BCE 146년

 • 풍요로운 도시, 마케도니아의 수도-로마시대에는 마케도니아 지방의 수도로.
안토니오스 옥타비우스-브루트스(시저와 싸운)와 대결. 데살로니카 사람들 안토-옥토 지지함.
옥타-시저의 양아들, 로마의 황제가 됨, 데살로니카 줄 살 섬. 특권=자유도시(스스로 자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방자치권의 장-사도행전에서는 ‘읍장’이라고 표시, 정치지도자들 당연히 로마에 충성하려는 성향.

 

• 로마에 충성하려는 배경

★행 17:7 중요,- 1) 로마 사람 반대한다, 나쁜 놈이지---하는 공감하는 틀, 배경이 있다.
2) 바울의 복음의 메시지가 뭐냐? 예수를 전한다는 그 복음이 뭐냐?
복음이라는 단어 자체가 정치군사적인 단어였다. (유앙겔리온! 우리가 이겼다!, 왕의 등극을 말할 때도 유앙겔리온! ) 정치군사적 용어 유앙겔리온을 차용하며 복음을 전함.



(3) 종교적 배경

 • 제국 종교 (Imperial Cult)
리챠드 홀스(학자), 톰 라이트
신의 아들로 황제를 숭상., 하나의 종교로써 발전.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질문자들의 속마음을 알고, 답변하심

 

• 신비 종교
① Dionysus cult (디오니소스 컬트)
당시에는 여러 신비 종교들이 많이 있었다. 지방마다 가지고 있는 종교들이 있는데, 널리 퍼진 것 중 하나. 문란한 종교, 남자의 성기를 상징으로 삼고, 성적 탐닉을 함. 예식 자체가 문란. 신비 종교란 말은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데, 그것을 누리고 이해시키는 데 인간 남녀관의 성관계를 묘사하는 건데, 이것을 사용, 문란. 신전 안에 성창들이 있었음. 예배드리러 갔다면 불미스러운 일들이 있었는데, 종교의 이름으로 넘어갔음.
살전 4:3-8, 디오니소스 신 (God of king),

 

② Cabirus cult (카비 루스 컬트)
카비 루스라는 인물의 부활을 믿는 종교. 카비 루스 살해 후 동생들이 제사를 지내는데, 산 밑에 묻었는데 그가 부활해서 언젠가 돌아온다는 종교.....> 그리스도의 부활 쉽게 받아들이면서도 역효과도 일어날 수 있었던 선지식, 문화.

그 시대가 가지고 있는 이단들이 뭐가 있는지 아는 게 중요하다.


유교- 한국교회 성장의 원동력이 되긴 했다. 우리는 정통이라고 생각하는 것들도 다 역사에서 흩어져 오거나, 때로는 잘못된 것들도 있다. 바울이 교정시키려고 하는 것처럼, 우리도 고쳐야 될 것이 많음을 알아야 한다.

 

 

 

2. 데살로니가 교회의 설립과 상황

(1) 바울의 사역과 데살로니가 교회의 설립

1) 전도 여행의 방향 변경 (행 16:6-10) … 마케도니아 사람의 환상
2) 빌립보에서의 복음 전파와 고난 (행 16:11-40) … 이후 고난의 연속
3) 데살로니가에서의 복음 전파와 고난 (행 17:1-9)
4) 베뢰아로의 피신과 데살로니가 인들의 지속적 박해 (행 17:10-14)
5) 바울의 아덴 선교. 설교 (행 17:16-34)
6) 고린도에서 실라와 디모데를 만남 (행 18:5)
- <실라와 디모데가 마케도니아로서 내려오매…>

 

(2) 데살로니가 교회의 상황

행 16:6절 이후 복음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넘어가는 계기.
기독교 역사가 바뀌기 시작하는 시점.
2차 전도여행 바울의 의도는 세운 교회를 둘러보고 점검하는 것.
하지만 하나님의 계획은 새로운 곳으로 가는 것. 그래서 <환상>을 통해 알려주심.
빌립보-> 핍박-> 행전 17:1 베뢰아 회당-> 바울 도망감> 아테네 설교> 나중에 고린도에서 만남>

 

1) 환란 속에서 바르게 서 있는 모습
환란의 상황이라는 것은 살 전후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힘이다.
환란 속에서 바르게 인내하고 있는 성도들에게 감사의 형식으로 쓴 편지

 

2) 권면이 필요한 상황
초보 교회에 환란이 온 상황. 격려, 권면이 필요한 상황

 

3) 바울 일행에 대한 오해의 위험
밤에 도망간 바울 일행에 대한 오해, 데살로니가 교회는 환란, 바울 일행에 대한 오해 충분히 있을 수 있음.

 

3. 데살로니가 전후서의 저자

(1) 과연 누가 실질적 저자인가?

왜 이런 논의가 나오는가? 다른 바울서신과 다른 느낌,
본론에 나, 바울이라는 표현 대신 <우리>라는 표현이 주로 쓰임. 다른 서신에서는 <나>라는 말이 더 많음. 왜 그럴까?


• 발신인의 이름으로 세 사람 언급: 바울, 실 루아노, 디모데

• 발신자 논의가 일어나는 이유: 다른 바울 서신과 차이가 있다


① 우리라는 표현> 나라는 표현
② 편지의 성격, 기존의 성격은 머리말, 감사 형식, 살 전후-감사-감사-
③ 머리말 같은 경우, 보통의 바울서신 머리말과 다르다. 복선이 그 당시 일반서신같이 인사말이 짧다.

 

발신자에 대한 몇 가지 제안
① 실질적 저자가 실 루아노라는 생각
② 공동 명의: 실라와 바울: ‘내가’라고 쓴 부분은 바울이 스스로의 의견을 강조한 것
③ 공동 명의이나 바울이 중심
예루살렘 교회에서 온 실라의 얘기가 이곳저곳에 반영된 것이 아닐까?
성경을 읽을 때, <리더십의 변화> 중요하게 봐야 한다. 바나바에서 바울로의 흐름 바뀜(1차 전도여행 중에 실질적 리더십 바울로 바뀜이 일어났다고 본다. 리더십의 이양이 있었어야 한다. 그 판단을 바나바가 못함.

 

(2) 바울 서신의 진정성에 대한 의문


현대 신학에서 바울 서신으로 인정되는 서신의 수는 7개
로마, 갈라, 고전 후, 빌레몬, 데살, 빌립보

 

• 바울서신에 대한 의문
① 살후의 저자 문제 제기
쉬미트 의문 제기, 전서와 차이점 많은, 종말론적 성격이 바울서신과 다른다. 3장의 싸인하는 것
② 살전의 저자 문제 제기
2장 16절

 

4. 데살로니가전후서의 관계

(1) 두 서신의 차이점과 공통점

• 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교회 상황이 바뀌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써 보낸 두 개의 편지다.
교회의 상황에 사역자들이 굉장히 민감해야 한다.
• 이런 의문에 대한 답변들

 

(2) 두 편지의 순서에 대한 논의

1) 전통적 견해: 살전 - 살후
전서가 앞에 있잖아? 그러나 시간 배열로 배열된 것이 아니고 길이 분량으로 된 것 같다.

 

2) 논쟁적 견해: 살후 – 살전
후서 1:4-5 고난을 받는다. 전 2:14 고난을 받았다.
타당성은 있으나, 다 반박이 가능하다.

 

 5. 데살로니가전후서의 구조

(1) 감사 형식의 문제

• 의문 제기: 왜 감사의 내용이 여러 번 나오는가?

 대응책
1/ 감사 형식 길이 확대: (Paul Schubert) 아예 1:2-3:10까지
2/ 바울 편지 합성: (W. Schmithals): 살전이 하나의 편지가 아니라, 여러 편지가 합성됨
3/ 다른 편지가 나중에 바울 편지에 끼어 듬: (B. Pierson)

 논의의 초점: 감사 형식은 꼭 한 번만 있어야 하는가? 이유가 있지 않을까?
환난 속의 신생교회 (context)

 

(2) 데살로니가전후서와 관련된 편집설


… 살 전후서를 여러 개의 편지로 나누려는 시도들

 

① 살전: 두 개의 편지(바울) + 삽입한 구절(다른 사람)로 편집됨 (Eckart의 주장)
# 감사 형식, 살전 2:13-16

② 살전후서를 네 개의 편지로 보는 주장: Schmithals (Paul and the Gnostics, 211, 213)

 

6. 저작 시기

 (1) 살전의 저작 시기
 전통적으로 50-51년으로 본다.

 (2) 살후 저작 시기
 50-52년

반응형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살로니가전서 4장-5장 요약  (0) 2021.04.09
데살로니가전서 2장 요약  (0) 2021.04.09
아가서 서론  (0) 2021.04.06
토라 (율법)  (0) 2021.04.06
출애굽기 24장 언약 체결의식과 두 돌판  (0) 2021.04.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