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라(율법)
용어
● 데바림(말씀들) - 십계명.
● 미츠바(계명, 명령) - 단순한 형태로 된 명령.
● 미쉬파트(판결 규례) - 판례법, case law. 주로 민사법과 형법.
● 호킴(규례) -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례. 주로 종교적인 규례.
형식(Alt)
● 정언법(apodictic law) - 단문으로 된 형식(해라! 혹은 하지 말라!).
● 결의론 법(casuistic law) - 주절(범죄)과 조건절(형벌)로 된 형식.
개념
히브리어 야라(던지다)에서 나옴. 명사형으로 쓰일 때는 교훈, 가르침이라는 뜻. 부모의 훈계, 어른들의 가르침이라는 의미. 율법 - 하나님 아버지의 가르침.
토라가 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게 된 것은 후대, 특히 포로기 이후다.
① 포로기의 상황
포로기 때, 나라의 멸망에 대한 신학적인 반성. 율법을 지키지 않아서 멸망. 율법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의무감이나 강제성이 따르게 됨.
② 이스라엘의 정체성
이방인들과 같이 사는 상황에서 이스라엘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율법에서 찾음. 특히 음식법과 정결법.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증거 - 율법을 지키는 것. 구약 신앙의 후퇴.
③ 그리스-로마의 영향
로마 시대 법을 강조함. 로마의 자랑 - 법. 구약의 율법을 로마의 법처럼 이해하게 됨.
토라는 원래 교훈과 가르침이었는데, 의무 규정으로 인식하게 됨.
토라의 실체
● 레위기에서는 제사장의 전문지식
● 오경 안에 법 규정
● 오경 전체
● 오경 + 예언서(= 오경의 해설) + 성문서
● 구약(= 기록된 토라) + 장로들의 유전(= 구전된 토라)
하나님의 선물로서 율법
율법을 통해서 우리는 거룩하신 하나님을 알게 되고, 그분의 성품을 닮아갈 수 있는 것이다. 율법을 떠나면 생명도 없다. 말씀을 떠난 기독교 신앙은 불가능하다. 말씀이냐, 아니냐 그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비주의는 말씀을 떠났기 때문에 그것은 이단이나 우상숭배로 간다. 말씀을 알 때 정확하게 잘 알아야 한다. 예수님께 찾아왔던 사탄, 말씀을 인용한다. 잘 알아야 한다.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살로니가전서후서 서론 (0) | 2021.04.09 |
---|---|
아가서 서론 (0) | 2021.04.06 |
출애굽기 24장 언약 체결의식과 두 돌판 (0) | 2021.04.06 |
출애굽기 23장 공정한 재판에 관한 규정 (0) | 2021.04.06 |
출애굽기 22장 배상에 관한 법 (0) | 2021.04.06 |
댓글